내년도 3.1운동 100주년 행사에 젊은 2세들도 적극 참여키로
약 100년전 국내의 3.1운동에 영향을 받아 이곳 필라델피아에서 일어난 ⸢제1차 한인회의⸥를 재현하기 위해 한인 1세와 젊은 2세들이 힘을 합치기로 했다.
필라델피아와 인근 지역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한인2세 등 20여명은 5월19일 미디어시에 있는 서재필기념관에 모여 조국독립운동의 발자취를 둘러보고 내년도에 있을 3.1운동 100주년 기념행사에 젊은 2세들이 참여하기 위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날은 하루종일 비가 내린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필라한인회 및 서재필재단 이사진과 젊은 변호사, 사업가, 금융업종사자, 대학원생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내년도에 있을 행사에 대한 2세들의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다.
이번 모임은 지난 5월1일 ⸢제1차 한인회의 재현 추진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내년행사에 젊은 한인2세들을 대거 참여시켜 한인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기로 결정한 데 따른 후속조치로 이루어졌다.
이자리에 참석한 변호사 Kay Yu씨는 토론에서 “이번 역사적인 기념행사를 준비하면서 한인들이 Network를 형성하여 뭉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하며, 한인공동체 뿐만 아니라 다른 아시아계도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또는 현 펜실바니아주지사의 자문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는 “내년 행사에 주지사도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한편, 1919년 조국에서 3.1운동이 일어나자 서재필을 중심으로 한 이승만, 정한경 등 한인 지도자와 미국 저명인사 약 150여명은 4월 14일부터 사흘간 필라델피아 리틀극장(Little Theater)에 모여 ‘제1차 한인회의(The First Korean Congress)’를 열었다. 회의에서 미국인 및 미국대통령, 일본지성인 등에게 보내는 호소문과 결의안을 채택하고 한국이 독립해야 함을 전세계에 호소했다.
당시에 필라델피아 시장은 시 군악대를 보내 회의후 시가행진을 돕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주류 신문들도 행사소식과 한국독립을 지지하는 기사를 연일 게재하며 깊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이는 당시 미국인의 한국인에 대한 무지와 일본에 의해 교묘히 획책된 혐오감을 감안하면 매우 놀라운 일이었다.
국내에서의 3.1운동 열기는 일제탄압으로 몇달이 가지 못했지만, 미국에서는 이곳 필라델피아를 중심으로 이후 3년 동안이나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고 지속되었다.
특히, 필라델피아에 본부를 두고 정치인, 종교지도자 등 미국 유력인사들이 중심이 된 ‘한국친우회’는 미주 전역의 23개 지부(영국, 런던에 2개 지부 포함)에서 약 25,000명의 회원을 두고 미 정부 및 의회 등에 한국독립을 호소하였다. .
한편, ⸢제1차 한인회의 재현 추진위원회」는 향후 젊은 2세들을 지속적으로 영입할 예정이며, 오는 8월경 세부적인 조직과 내용을 확정하고 전체 위원들이 참여하는 공식 출범식을 가진다.(2세들의 참여 문의: 한인회회장 T 215-927-1580 / 서재필재단회장 T 215-224-2040).